본 게시글은서울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이상원 교수님의데이터사이언스 응용을 위한 빅데이터 및 지식관리시스템 수업을학습을 목적으로 재구성하였습니다이전 시간에 배운 tree based index structure에서B+Tree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우선은 inserting과 deletion이다 저번 시간에 DB index가 어떻게 값을 찾는지 배웠다각 data는 search key인 50000과뒤에 몇 번째 block의 몇 번째 slot에해당 record가 존재하는지를 의미한다 따라서 tree에서 검색해야할 key를 찾고해당 record를 찾아가는 구조를 갖고있다 따라서 data가 새로 insertion되너가 deletion될 때B+Tree의 경우 tree의 구조가 변경되게된다 B+Tree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