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2

[database] DBMS는 어떻게 data에 접근할까 + DB와 메모리 계층구조

본 게시글은서울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이상원 교수님의데이터사이언스 응용을 위한 빅데이터 및 지식관리시스템 수업을학습을 목적으로 재구성하였습니다이번 수업 내용은제목을 뭐라고 붙일지 약간 고민했다뭔가 마땅한 내용이 없는 느낌 아무튼 전반적인 내용은DBMS와 disk IO에 관한 내용이며메모리 계층구조를 살펴보고이게 DBMS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저번 시간에 DBMS에서 데이터를 가져올 때DRAM의 buffer cache를 사용한다고 했다 실제로 DBMS가 SQL을 처리하기 위해서는디스크에 있는 데이터를 DRAM으로 가져와야하는데이때 IO가 발생하고 이 단위는 page(=block)이고일반적인 DBMS의 page는 8KB라고 설명했다 DBMS에서는 system catalogs를 이용해서ta..

강의/database 2025.05.03

[system programming]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2편

본 게시글은서울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정형수 교수님의데이터사이언스 응용을 위한 컴퓨팅 시스템 강의를학습을 목적으로 재구성하였습니다 지난 시간에 이은 가상메모리 2편이다교수님께서 컴퓨터 공학에 있어서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라고 강조 또 강조하신 부분이다 우선 지난 시간에 배운 내용을간단하게 복습하고 본격적으로이번 수업시간에 배울 내용으로 넘어가보자 1950-60년대에는 os를 Physical memory 상단부에고정 시키고 나머지 부분을 활용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따라서 예전에는 physical memory가위 ppt slide처럼 구성되어있었다 가장 위에 os를 위한 부분이 있고그 아래에 여러 프로세스에 대해서저장하는 공간이 각각 할당됐었다 총 512KB정도가 있지만예전에는 이 정도 메모리도 크다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