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 13

[database] Relational Database(Primary key와 Foreign key)

본 게시글은서울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이상원 교수님의데이터사이언스 응용을 위한 빅데이터 및 지식관리시스템 수업을학습을 목적으로 재구성하였습니다저번 시간 수업에 이어서DDL과 DML을 잠깐 살펴본 뒤Primary key와 Foreign key에 대해서 자세하게 살펴본다   DDL은 table을 만드는 등의역할을 하는 언어다 CREATE TABLE, CREATE VIEW, CREATE INDEX와 같은 것들이DDL에 속한다   DML은 table 내의 데이터들을 조작하는 언어이다Insert, Delete, Update와 같은 것들이 있다  특정 조건을 filter 걸어 데이터들을 조회하는select문도 대표적인 DML이다   Integrity Constraint, 줄여서 IC에 대해서 알아보자 한국어로는..

강의/database 2025.03.16

[database] DB는 왜 배우는가 + 데이터베이스의 역사

본 게시글은서울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 대학원 이상원 교수님의데이터사이언스 응용을 위한 빅데이터 및 지식관리시스템 수업을학습을 목적으로 재구성한 글입니다본 수업에서는 중간고사 이전까지는DB users로써 알아야 할 기본적인 내용에 대해 배운 다음중간고사 이후부터는DBMS라는 것이 내부적으로 어떻게 동작하는지와인공지능 시대에 hot한 vectorDB,그리고 NL2SQL의 개념에 대해서도 배운다고한다  OT 수업인만큼 DB는 왜 배우며DB의 역사에 대해서 강의해주셨다  DB는 왜 배울까?Data Processing은 인류에게 왜 중요할까? 농경사회에서는 이미지나 패턴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했다고한다그러나 농경사회가 끝난 이후에는숫자를 기반으로 하는 어떤 data가 중요해졌고이러한 숫자 기반의 data proces..

강의/database 2025.03.04

[논문 리뷰] The Case for Learned Spatial Indexes (2020.08.24)

The Case for Learned Spatial Indexes논문 정보제목The Case for Learned Spatial Indexes저자Varun Pandey, Alexander van Renen, Andreas Kipf, Ibrahim Sabek, Jialin Ding, Alfons Kemper소속TUM, MIT CSAIL저널AIDB(AI Database), VLDB(Very Large Database)주제Computer Science > Databases논문제출일2020.08.24인용수53회 (2024.12.03 기준) https://arxiv.org/abs/2008.10349 The Case for Learned Spatial IndexesSpatial data is ubiquitous. ..